날짜 : 2021.02.07 일요일 / 제목 : 주식 단어 공부 ! / 날씨 : 🌞🌞🌞🌞
안녕하세요 ! 전자과_공대생입니다 ~ (⌐■_■)
오늘 날씨가 엄청 따뜻하네요 ㅎㅎㅎ
패딩 대신 코트를 입어도 무방할 정도로 따뜻하네요 !
저는 아무것도 모른 채 패딩 입고 나왔다가 더워 죽을 뻔했습니다,,,
아무튼 ! 오늘도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오늘도 주식 단어 공부부터 해보겠습니다 ~!
전에 단어를 3명에서 3등분을 하여 각자 파트를 맡아서 공부했다고 했습니다.
근데 맨 첫 부분 파트를 맡은 분이 사정이 있어서 단어 공부를 더 이상 못 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따라서 2명에서 나머지 부분을 단어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하지만 또 다른 친구도 요즘 자격증, 편입 준비로 바빠서 아마 제가 다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개수를 세어보니 25개 단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15개 정도 하고 친구가 10개 정도로 하는 걸로 일단은 말해두었습니다.
나중에 또 바뀔 수 있지만 일단은 15개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
그럼 오늘 공부할 단어는 고통지수, 골디락스 경제, 공공재, 공급 탄력성, 공매도입니다 !
그럼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
1. 고통지수 (misery index)
고통지수란 특정한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이며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만든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단, 고통지수는 절대적인 것입니다.
따라서 나라마다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 대상에 따라서 느끼는 고통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수 비교는 어렵습니다.
2.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골디락스 경제란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 입력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킵니다.
골드락스는 골드(gold; 금)와 락(lock; 머리카락) 합성어로 금발머리 사람을 말합니다.
골디락스는 영국 전래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 나오는 여자 소녀 이름입니다.
동화 안에서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어느 날 숲 속에서 곰이 끓여 놓고 나간 '뜨거운 수프, 차가운 수프, 적당한 수프' 중 적당한 온도의 수프로 배를 채우고 기뻐한다.
골디락스 경제는 바로 이 말에서 유래돼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고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상적 경제상황을 말합니다.
3. 공공재
공공재란 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
국방, 경찰, 소방, 공원, 도로 등과 같이 정부에 의해서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든가 또는 정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회적으로 판단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가 해당됩니다.
공공재에는 보통 시장 가격이 존재하지 않으며 수익자 부담 원칙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공재 규모의 결정은 정치기구에 맡길 수밖에 없습니다.
4. 공급 탄력성
공급 탄력성이란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공급 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측정합니다.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
공급 탄력성은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생산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5. 공매도 (空賣渡 / short stock selling)
공매도를 말 그대로 해석하면 없는 것을 판다는 뜻입니다 !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 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합니다 !
예를 들면, 투자자가 A라는 주식을 빌려 주당 30,000원에 팔았습니다.
며칠 후 그 주식이 23,000원으로 하락하였다면 23,000원에 주식을 매입합니다.
그러고 나서 빌린 A 주식을 되갚으면 투자자는 주당 7,000원의 수익을 얻게 됩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이 약세장이 되었을 때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거래가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공매도에 쏠릴 경우 주식시장이 한순간 폭락하는 등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공매도에 대한 많은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
주식 단어 공부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야무지게 단어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
그럼 다음 주식 단어 공부 글에서 뵙겠습니다 !
이상 전자과_공대생이었습니다 ~ ! (⌐■_■)
감사합니다 ~
주식 단어 공부 16탄 ! [기준금리 / 기축통화 / 기회비용 / 낙수 효과 / 단기금융시장] (0) | 2021.02.09 |
---|---|
주식 단어 공부 15탄 ! [국가신용등급 / 국채 / 금본위제 / 금산분리 / 기업공개] (0) | 2021.02.08 |
주식 단어 공부 13탄 ! [부채담보부증권(CDO) / 신주인수권부사채(BW) / 연방준비제도(FRS) 및 연방준비은행(FRB)] (0) | 2021.02.05 |
주식 단어 공부 12탄 ! [양도성 예금 증서 / 양적완화 정책 / 어음관리계좌 / 앵겔의 법칙 / 역모기지론] (0) | 2021.02.04 |
주식 단어 공부 11탄 ! [통화스왑 / 스톡옵션 / 시뇨리지 / 신용경색 / 실질임금 / 애그플레이션]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