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Daily33_21.02.07 / 주식 용어 공부 14탄 @ 컴활 실기 공부

daily_Preparations

by 전자과_공대생 2021. 2. 8. 12:53

본문

728x90
반응형

날짜 : 2021.02.07 일요일 / 제목 : 주식 단어 공부, 컴활 실기 공부 ! / 날씨 : 🌞🌞🌞🌞

 

안녕하세요 !  전자과_공대생입니다 ~ (⌐■_■)

오늘 날씨가 엄청 따뜻하네요 ㅎㅎㅎ

패딩 대신 코트를 입어도 무방할 정도로 따뜻하네요 !

저는 아무것도 모른 채 패딩 입고 나왔다가 더워 죽을 뻔했습니다,,,

아무튼 ! 오늘도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그럼 오늘 할 일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 오늘 할 일 }

👉주식 단어 공부

👉컴활 실기 공부

 

 

오늘도 주식 단어 공부부터 해보겠습니다 ~!

전에 단어를 3명에서 3등분을 하여 각자 파트를 맡아서 공부했다고 했습니다.

근데 맨 첫 부분 파트를 맡은 분이 사정이 있어서 단어 공부를 더 이상 못 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따라서 2명에서 나머지 부분을 단어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하지만 또 다른 친구도 요즘 자격증, 편입 준비로 바빠서 아마 제가 다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개수를 세어보니 25개 단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15개 정도 하고 친구가 10개 정도로 하는 걸로 일단은 말해두었습니다.

나중에 또 바뀔 수 있지만 일단은 15개 먼저 공부하겠습니다 !

그럼 오늘 공부할 단어는 고통지수, 골디락스 경제, 공공재, 공급 탄력성, 공매도입니다 !

그럼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

 

 

1. 고통지수 (misery index)

고통지수 / 출처 -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70425000292

고통지수란 특정한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이며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만든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단, 고통지수는 절대적인 것입니다.

따라서 나라마다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 대상에 따라서 느끼는 고통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수 비교는 어렵습니다.

 

 

2.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골디락스 경제 / 출처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3723960&memberNo=17088274

골디락스 경제란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 입력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킵니다.

 

골드락스는 골드(gold; 금)와 락(lock; 머리카락) 합성어로 금발머리 사람을 말합니다.

골디락스는 영국 전래 동화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에 나오는 여자 소녀 이름입니다.

동화 안에서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어느 날 숲 속에서 곰이 끓여 놓고 나간 '뜨거운 수프, 차가운 수프, 적당한 수프' 중 적당한 온도의 수프로 배를 채우고 기뻐한다.

골디락스 경제는 바로 이 말에서 유래돼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고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상적 경제상황을 말합니다.

 

 

3. 공공재

공공재 /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ymonte&logNo=22123269020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공공재란 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

국방, 경찰, 소방, 공원, 도로 등과 같이 정부에 의해서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든가 또는 정부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회적으로 판단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가 해당됩니다.

 

공공재에는 보통 시장 가격이 존재하지 않으며 수익자 부담 원칙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공재 규모의 결정은 정치기구에 맡길 수밖에 없습니다.

 

 

4. 공급 탄력성

공급 탄력성이란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공급 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측정합니다.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의 변화율 ]

 

공급 탄력성

공급 탄력성은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생산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5. 공매도 (渡 / short stock selling)

공매도 / 출처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218

공매도를 말 그대로 해석하면 없는 것을 판다는 뜻입니다 !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주식을 빌려 먼저 매도한 후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되 갚은 후 차익을 얻는 투자를 말합니다 !

 

예를 들면, 투자자가 A라는 주식을 빌려 주당 30,000원에 팔았습니다.

며칠 후 그 주식이 23,000원으로 하락하였다면 23,000원에 주식을 매입합니다.

그러고 나서 빌린 A 주식을 되갚으면 투자자는 주당 7,000원의 수익을 얻게 됩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이 약세장이 되었을 때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거래가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공매도에 쏠릴 경우 주식시장이 한순간 폭락하는 등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공매도에 대한 많은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

 

 

주식 단어 공부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컴활 1급 실기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자세하게 공부법에 대해서 따로 공지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슈퍼맨 선생님이라는 유튜버 분의 영상을 가지고 2021년 개편 사항에 대해서 대비하였습니다 !

물론 시험도 아직 보지는 않았고 어떤 느낌인지 영상을 보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구글링과 검색을 해본 결과 대부분 유동균 선생님의 강의를 많이 듣더라구요.

하지만 저는 강의를 듣지 않고 그냥 온몸으로 부딪혀볼까 합니다.

제가 올린 2021년 컴활 개편 사항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결국 2과목 엑셀 부분이 많이 변하고 3과목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엑셀 부분에 대해서 공부할 때 좀 더 집중해서 강의를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오늘의 데일리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

어제 급하게 일이 있어서 다음 날인 8일에 올리게 되었네요.

그래도 쓸 내용은 다 쓰고 올리지 못한 것이라 다행입니다 !

그럼 다음 데일리 글에서 뵙겠습니다 !

이상 전자과_공대생이었습니다 ~ ! (⌐■_■)

감사합니다 ~

오늘의 마무리는 아이유인나입니다 ♥

아이유인나 ♥ / 출처 - https://twitter.com/iu_inna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