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식 단어 공부 6탄 ! [표면금리 / 한계비용 / 헤지펀드 / 환율조작국 / M&A]

주식 단어 공부 !

by 전자과_공대생 2021. 1. 27. 20:06

본문

728x90
반응형

날짜 : 2021.01.27 수요일 / 제목 : 직접 찾아 단어 공부하는 마지막 날 / 날씨 : ⛅

 

안녕하세요 ~  전자과_공대생입니다 ~ (⌐■_■)

바로 주식 단어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

오늘이 마지막 5개 단어입니다.

물론 3등분을 해서 각자 공부했기 때문에 나중에 2분께 단어 정리를 받아 따로 공부할 것입니다 !

우선 오늘 공부할 단어는 표면금리, 한계비용, 헤지펀드, 환율조작국, M&A입니다 !

그러머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

 

 

1. 표면금리

표면금리란 채권의 액면가에 대한 이자 지급 비율을 채권 표면에 표시한 것으로서 계약 기간 동안 지급을 약속한 고정 금리입니다 !

여기서 액면가란 주권 표면에 적힌 금액을 뜻합니다 !

 

표면금리가 높을수록 채권 매수자는 동일 액면가에 대해 더 많은 이자를 받습니다.

채권 가격은 표면금리와 시장 실세금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만일 채권 발행 당시 표면금리와 실세금리가 같으면 채권은 액면가 이상으로 거래됩니다.

 

 

2. 한계비용

한계비용이란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입니다 !

 

간단하게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생수 100 = 10,000원 비용 소모라고 합시다.

, 생수 1병의 평균 생산비용= 100원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101병을 생산하면 10,080 / 102병을 생산하면 10,150원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  10,000 = 80 / 102병째는 70원이 됩니다 !

 

일반적으로 생산을 증가하면서 한계비용을 점차 줄어들다가 어느 생산 규모에 이르면 다시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

 

 

3. 헤지펀드

헤지펀드란 개인을 대상으로 모집한 자금을 고수익 또는 위험회피 등을 목적으로 국제증권시장이나 국제 외환시장에 투자하는 사적 투자조합 또는 투자계약이라고 합니다 !

소수의 고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 투자자본입니다.

주식, 채권만이 아니라 파생상품 등 고위험,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합니다 !

 

현재 국제 금융시장에 활동 중인 헤지펀드는 300여 개입니다.

대표적으로 자산규모가 200억 달러가 넘는 퀀덤 펀드나 타이거펀드가 있습니다.

 

 

4. 환율조작국

환율조작국 / 출처 - https://news.joins.com/article/21252913

환율조작국이란 자국의 수출을 늘리고 자국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입니다 !

심층 분석 대상국이라고도 불립니다.

미국이 매년 4, 10월에 경제 및 환율정책 보고서를 통해 발표합니다.

 

#심충분석 대상국으로 지정할 수 있는 3가지 요건(2015년 제정된 교역 촉진법에 의거)#

1. 대미 무역흑자 200억 달러 초과

2. 국내총생산 대비 경상흑자 비율 3% 초과

3. 정책당국이 연간 GDP 대비 2% 초과하는 달러를 순매수하고 순매수가 12개월 중 8개월 이상 지속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미국은 해당국에 환율 저평가 및 지나친 무역흑자 시정을 요청합니다.

1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으면 해당국에 대한 미국 기업들의 투자 제한, 해당국 기업들의 미국 연방정부와의 조달계약 체결 제한, IMF에 추가적인 감시 요청 등의 구체적 제재를 할 수 있습니다 !

 

3가지 요건 중 2가지 요건에 해당된 국가는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합니다.

[2016.04 ~ 2017.10] 대한민국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된 적이 있습니다 !

 

한편 2019.08.05 처음으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

환율을 통제하는 중국 당국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포치를 사실상 허용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포치란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7위안 아래로 떨어진 것입니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면 중국 수출품 가격도 낮아지기 때문에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충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5. M&A (Mergers & Acquisitions)

M&A란 기업 경영의 효율성 제고와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 외부 경영자원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수합병으로 불립니다 !

M&A의 방법은 주식인수, 기업합병,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M&A의 대표적인 4가지 방법#

1. 주식인수

매수 대상 회사의 주식을 인수하여 지배권을 획득하는 방법입니다.

 

2. 기업합병

2개 이상의 회사가 계약에 의해 청산 정차를 거치지 않고 하나의 경제적, 법적 실체로 합쳐지는 것입니다.

 

3. 기업분할

특정 산업부문의 자산과 부채를 포괄적으로 이전하여 별도의 회사를 설립하는 것입니다.

 

4. 영업양수도

특정 사업 부문의 자산과 부채, 조직 및 인원, 권리와 의무 등이 포괄적으로 이전되는 것입니다.

사업 부문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경영 주체만을 교체하는 것입니다.

 

 

주식 단어 공부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주식 단어 공부부터는 3등분 했던 나머지 부분을 공부하겠습니다.

이미 두 분이 정리해두었기 때문에 정리본을 보면서 단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그럼 다음 주식 단어 공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상 전자과_공대생이었습니다 ~ ! (⌐■_■)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