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21.01.31 일요일 / 제목 : 주식 단어 공부 ! / 날씨 : 🌞🌞🌞🌞
안녕하세요 ! 전자과_공대생입니다 ~ (⌐■_■)
오늘 하늘도 이쁘고 구름 한 점 없고 날씨가 너무 이쁘네요 ㅎㅎ
이런 날에는 놀러 가야 되는데....ㅎ
그래도 학생 신분이니 공부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그럼 주식 단어 공부부터 해보겠습니다 !
오늘 공부할 단어는 본원통화, 부가가치, 부채비율, 분수효과, 빅맥지수,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
오늘 단어도 친구가 공부한 파트이며 친구가 필기한 것을 토대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그럼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
1. 본원통화
본원통화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현금통화로, 고성능화폐라고도 합니다.
중앙은행 창구를 통해 시중으로 들어온 화폐는 은행이 보유하거나 비은행 민간이 보유하게 됩니다.
여기서 은행이 보유하는 현금은 민간으로부터 받은 예금을 대출하고 남은 것이거나, 예금을 찾으러 오는 사람들에게 돌려주기 위한 지급준비금입니다.
은행은 보유한 현금을 자신의 금고에 직접 넣어두거나 다시 중앙은행에 예치할 수 있는데, 전자를 시재금이라 하고, 후자를 중앙은행 예치금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정의 하에서 본원통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본원통화 = 화폐 발행 잔액 + 중앙은행 예치금 ]
2. 부가가치
부가가치란 개개의 기업 또는 산업이 생산과정에서 새로이 부가한 가치를 뜻합니다 !
예를 들어 어부가 물고기를 잡아서 2000원에 생선 장수에게 팔았다면 어부는 2000원의 부가 가치를 만든 것입니다.(어부가 돈을 주고 물고기를 잡은 것이 아니므로, 어부가 받은 돈은 전부가 부가 가치라고 여겨지는 것입니다.)
생선 장수가 어부에게 물고기를 2000원에 사서 요리사에게 3000원에 팔았다면 생선 장수는 1000원의 부가 가치를 만든 것입니다.
요리사가 이 생선으로 맛있게 요리를 해서 식당에 찾아온 손님에게 6000원에 팔았다면 요리사는 3000원의 부가 가치를 만든 것입니다.
요리사의 요리는 생선의 가치에 새로이 3000원어치를 더한 것이 됩니다.
각 생산 단계에서 만들어진 부가 가치를 모두 더하면 국내 총생산(GDP)이 됩니다.
제품이나 서비스가 생산·유통되는 단계에서 새롭게 만들어 내는 가치인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은 부가가치세라고 합니다.
3. 부채비율
부채비율이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기업의 재무구조 중 타인자본 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이기도 합니다.
상환해야 할 타인자본(부채총계)에 대해 자기 자본이 어느 정도 준비돼 있는가를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처럼 부채와 자본의 구성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무구조' 또는 '안전성 비율' 이라고도 합니다.
4. 분수효과
분수효과란 저소득층의 소비 증대가 기업 부문의 생산 및 투자 활성화로 이어져 경기를 부양시키는 효과를 말합니다.
부유층에 대한 세금을 늘리는 대신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를 강화하면 저소득층의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의 증가는 소비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저소득층의 소비 증가는 다시 기업 부문의 생산 및 투자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경기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부유층에게도 혜택이 돌아갑니다.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투자 활성화로 이어져 저소득층에게도 그 혜택이 돌아간다는 낙수효과와 반대되는 말입니다.
저소득층의 소비 증가가 고소득층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소득 수준별로 한계소비성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한계소비성향이란, 소득이 1원 늘었을 때 소비가 늘어나는 정도를 말합니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한계소비성향이 더 크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복지를 늘리는 것이 경기부양에 더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에게 동일한 금액을 준다고 할지라도 고소득층은 이미 높은 소비 수준을 영위하고 있어 소비가 거의 증가하지 않는 반면, 저소득층은 늘어난 소득을 거의 다 소비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성향 때문에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는 대부분 소비 증가로 이어져 경기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용어는 마케팅 분야에서도 이용됩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는 고객들의 동선에 대한 전략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매출이 크게 달라지는데, 분수효과에 따르면 지하 1층 또는 1층에 주요 상설할인매장을 배치하고, 이곳을 방문한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상위층으로 이동하여 쇼핑을 할 수 있도록 동선을 배치하는 전략이 나옵니다.
반대로 꼭대기 층에 맛집이나 사은품 증정소를 배치하여 이곳을 방문한 고객들이 아래층으로 내려오면서 쇼핑을 하도록 동선을 짜는 전략은 샤워할 때 물줄기가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에 비유한 샤워효과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5. 빅맥지수
미국 패스트푸드 회사 맥도널드의 대표적 햄버거 상품인 빅맥의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각국의 상대적 물가 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지수를 말합니다 !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 The Economist》가 1986년부터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발표하는 지수로, '빅맥'은 전 세계에 매장을 둔 세계적 패스트푸드 회사인 맥도널드의 대표적 햄버거 상품의 명칭입니다.
햄버거 가격으로 경제 상황을 설명한다고 하여 '햄버거 경제학'이라는 뜻의 버거노믹스라고도 합니다.
이 지수는 '환율은 각국 통화의 상대적 구매력을 반영한 수준으로 결정된다'는 구매력 평가설, '동일 제품의 가치는 세계 어디서나 같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적정환율을 산출하는데, 이 환율을 빅맥 환율이라고도 합니다.
그 기준으로 전 세계 어디서나 재료 구성이나 조리법, 크기가 표준화되어 있는 '빅맥' 햄버거 가격을 미국의 달러화로 환산하여 각국의 상대적 물가 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합니다.
이 지수가 처음 발표된 이래로 시장환율과 적정환율 사이의 차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지수가 낮을수록 해당 통화가 달러화보다 저평가된 것으로, 높을수록 고평가 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6.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s)
상장지수펀드란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를 뜻합니다 !
펀드라는 큰 개념을 두 가지로 나누면 ETF와 일반 펀드입니다.
ETF는 상장이 된 펀드를 말하는 것이고 그 외의 것은 일반 펀드입니다 !
오늘의 주식 단어 공부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
내일도 알찬 주식 단어 공부를 하겠습니다 !
그럼 다음 주식 단어 공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상 전자과_공대생이었습니다 ~ ! (⌐■_■)
감사합니다 !
주식 단어 공부 11탄 ! [통화스왑 / 스톡옵션 / 시뇨리지 / 신용경색 / 실질임금 / 애그플레이션] (0) | 2021.02.03 |
---|---|
주식 단어 공부 10탄 ! [서킷브레이커 / 선물거래 / 소득 주도 성장 / 수요 탄력성 / 스왑 / 금리스왑] (0) | 2021.02.01 |
주식 단어 공부 8탄 ! [물가지수 / 뮤추얼펀드 / 뱅크런 / 베블런 효과 / 변동금리 / 보호무역주의] (0) | 2021.01.29 |
주식 단어 공부 7탄 ! [가산 금리 / 경기 동향 지수 / 경상수지 / 고용률 / 고정금리] (0) | 2021.01.29 |
주식 단어 공부 6탄 ! [표면금리 / 한계비용 / 헤지펀드 / 환율조작국 / M&A] (0) | 2021.01.27 |